성인 예방접종
① 폐렴구균 예방접종 (폐렴 예방접종)
- - 만 18세 이상 폐렴 고위험군에 해당하시면 폐렴 발생률이 4~7배 더 높습니다. 따라서 폐렴 고위험군이라면 예방접종이 필수적입니다.
- - 폐렴 고위험군 :
- I) 만성 폐질환, 심혈관계 질환, 당뇨병, 만성 신질환, 만성 간질환을 진단 받으신 분
- II) 암을 진단 받으신 분(항암치료 중이신 분도 가능), 면역억제제 치료 중이신 분, 장기이식을 받으신 분
- III) 흡연자, 의료기관 종사자
- - 골다공증 치료 중이신 분(2020년도부터 권고 대상에 포함)
- - 일반 성인도 접종 가능합니다.
- - 폐렴 예방접종 종류 : 다당질 폐구균 백신(PPSV23), 폐구균 단백접합 백신(PCV13)
- - 예방접종 스케쥴 : 총 2회(PCV13 1회, PPSV23 1회)
- *PCV13 접종 후 1년(혹은 65세 이후) PPSV23 무료접종
- *다당질 폐구균 백신의 경우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 해당하시면 보건소에서 무료 접종
- *자세한 접종 스케쥴은 병원에 문의 바랍니다.
② 대상포진 예방접종
- - 만50세 이상 평생 한번 접종
- - 접종 대상자 : 과거 대상포진 치료 기왕력이 있으신 분, 암환자를 비롯한 면역저하자
- *암 환자분의 경우 항암치료기간 중에는 접종이 제한됩니다.
- *대상포진 치료를 받으셨던 분들은 치료 종료 3~6개월 후 예방접종이 가능합니다.
③ 수막구균 예방접종
- - 수막염과 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으로 면역저하자가 아닌 정상 성인에서는 주로 단체생활이 예정되어 있는 경우 접종
- - 접종 대상자 : 군 입대, 기숙사 입소, 해외유학이 예정되어 있는 분 등
- - 접종 횟수 : 1회(면역저하자가 아닌 경우)
④ 일본뇌염 예방접종
- - 일본뇌염은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으로,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어 유행지역이나 유행시기에는 예방접종을 하는 것만이 유일한 최선의 방법입니다.
- - 접종 횟수 : 1회 (생백신의 경우)
- - 접종 대상자 : 위험지역(논, 돼지 축사 인근)에 거주하거나 전파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이신 분, 일본뇌염 유행국가 여행 예정이신분 등
⑤ A형 간염 예방접종
- - A형 간염은 ‘분변-경구’ 경로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가 되거나,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의 섭취를 통한 간접전파, 혈액매개, 성접촉 등 전파경로가 다양합니다.
- - A형 간염 감염 시 특별한 치료법이 없고 대증치료만이 유일합니다.
- - 접종 횟수 : 2회(6개월 간격)
- - 접종 대상 : 만성 간질환으로 진단받으신 분(B형 간염 보균, 간경변 등), 의료인, 군인, 요식업 종사자 등 직업적으로 노출될 위험이 있으신 분
⑥ B형 간염 예방접종
- - 접종 횟수 : 3회 (0,1,6개월 일정)
⑦ 디프테리아, 파상풍, 백일해(Tdap) 예방접종
- - 접종 대상자 : 임산부(임신 27주~36주 사이), 신생아와 접촉 예정인 가족들(부모, 형제, 조부모 포함), 영아 도우미, 산후조리업자, 산후조리 종사자, 학교/유치원 교사 등
- - 접종 횟수 : 산모의 경우 매 임신시마다 접종(과거 접종력과 상관없이, 임신 중에는 1회), 정상 성인의 경우 1회